티스토리 뷰

728x90

안녕하세요 여러분 큐몽입니다. 오늘은 SSD 구매시 항상 사람들이 말하는 D램 이전에 SLC MLC TLC QLC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LC캐싱이랑 다릅니다 자 보시죠

SLC (Single-Level Cell)

  • 저장 방식: 하나의 셀에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장점: 가장 빠른 읽기/쓰기 속도와 가장 높은 내구성을 제공합니다. 에러율이 낮고, 쓰기 순환 횟수(cycle)가 가장 많습니다.
  • 단점: 제조 비용이 가장 높고, 같은 공간에 비해 저장 용량이 가장 낮습니다.

MLC (Multi-Level Cell)

  • 저장 방식: 하나의 셀에 2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장점: SLC보다 저장 용량이 더 크면서 비용이 적게 듭니다.
  • 단점: SLC에 비해 읽기/쓰기 속도가 느리고 내구성이 낮습니다. 쓰기 순환 횟수도 적습니다.

TLC (Triple-Level Cell)

  • 저장 방식: 하나의 셀에 3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장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입니다.
  • 단점: MLC에 비해 읽기/쓰기 속도가 더 느리고, 내구성이 더 낮습니다. 쓰기 순환 횟수가 더 적습니다.

QLC (Quad-Level Cell)

  • 저장 방식: 하나의 셀에 4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 장점: 가장 높은 데이터 저장 용량을 제공하여 단위 당 비용이 가장 낮습니다.
  • 단점: 읽기/쓰기 속도가 가장 느리며, 내구성이 가장 낮습니다. 쓰기 순환 횟수가 가장 적습니다.

사실 이 이후로 쿼드레벨 이후 펜타레벨도 있는데 사람들이 쿼드레벨도 꺼려하는데 없어지는 추세입니다. 원래는 MLC는 멀티기 때문에 TLC도 멀티지만 이제는 2비트 저장박식만 MLC라고 합니다. 기술의 개발로 TLC가 MLC의 속도를 어느정도 따라왔으며 수명은 아직 MLC, SLC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는 SLC는 SLC캐싱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으나 실제 SLC는 아닙니다. QLC를 사람들이 자주 안쓰는 이유는 수명이 짧습니다.

총정리

SSD 뭐사야하나? 가능한 TLC제품 사자!

속도&수명 SLC>MLC>TLC>QLC

일반유저 입장에서는 TLC가 가장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물론 읽기 쓰기를 안하고 단순 저장이면 QLC도 타협은 될 수 있으나 수명이 너무 짧네요.

728x90